분류 전체보기 94

[ JAVA ] Char를 Int로 변환하기

1. Character.getNumericValue(num) 사용 char num = '2'; Character.getNumbericValues(num); // 2 Java에서 char를 int로 변환할 수 있는 Character 클래스의 내장 함수인 Character.getNumericValue(num)를 사용할 수 있다. 2. Ascii code 사용 char ch = '2'; int num = ch - '0'; // 50 - 48 문자 '0'의 아스키코드는 50이고, 문자 '2'의 아스키코드는 48이다. 하나씩 커지는 셈이다. 즉 50 - 48을 빼면 2가 나온다. [참고] Ascii 코드표

[ JAVA ] 클래스와 객체

1. 클래스와 객체의 정의와 용도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놓은 것' 또는 '객체의 설계도 또는 틀'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대로 생성된다. 클래스의 정의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이다. 클래스의 용도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객체는 사전적인 정의로는 '실제 존재하는 것' 이다. 객체지향 이론에서는 사물과 같은 유형적인 것 뿐만 아니라, 개념이나 논리와 같은 무형적인 것들도 객체로 간주한다. *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뜻한다. 객체의 정의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물 또는 개념 객체의 용도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속성에 따라 다름 유형의 객체 책상,의자,자동차,TV와 같은 사물 ..

[ JAVA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개념이자 방법론이다. 줄여서 OOP라 부르며, 단어 뜻 그대로 프로그램(실제세계)를 객체(사물)라는 기본 단위로 나누고 이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을 기본개념으로 한다. 1. 객체지향 언어의 주요 특징 1.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다.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할 수 있다. 2.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코드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적은 노력으로 쉽게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3.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자와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호하고 올바른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여 코드의 불일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2. 객체지향 VS 절..

[ JAVA ] 다차원 배열이란?

다차원 배열이란? 2차원 이상의 배열을 의미하며, 배열 요소로 또 다른 배열을 가지고 있는 배열을 의미합니다. 1. 2차원 배열의 선언과 인덱스 2차원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1차원 배열과 같다. 다만 괄호[]가 하나 더 들어갈 뿐이다. 선언 방법 선언 예 타입[][] 변수이름; int[][] score; 타입 변수이름[][]; int score[][]; 타입[]변수이름[] int[] score[]; 예시) 2차원 배열은 주로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담는데 사용되며, 만일 4행3열의 데이터를 담기 위한 배열을 생성하려면 아래와 같이 한다. int [][] score = new int[4][3]; // 4행 3열의 2차원 배열을 생성한다. 위 문장이 수행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4행3열 데이터, 모두 12개의..

[ JAVA ] 변수의 타입

변수의 타입에는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값의 종류는 크게 '문자와 숫자' 로 나눌 수 있으며, 숫자는 다시 '정수와 실수'로 나눌수 있다.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 변수는 실제 값을 저장하고,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기본형(primitive type) -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olat, double)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한다. 총 8개 참조형 (reference type) -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8개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참조형 타입 - 배열 타입 - 열거 타입 - 클래스 - 인터페이스 참조형 변수 선언 방법 클래스이름 변수 이름; // ..

[ JAVA ] 변수와 상수

1.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함. → 메모리상 공간에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 이름 붙여짐 2.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2-1 변수 선언 int age; // age 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 - int : 변수 타입으로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인지를 지정하는 것임 - age : 변수이름으로 말 그대로 변수에 붙인 이름임 * 변수이름은 마음대로 정해도 상관 없지만 같은 이름의 변수가 여러 개 존재하면 안됨 2-2 변수 초기화 int age = 25; // 변수 age를 선언하고 25로 초기화 변수를 초기화 해야하는 이유 :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자원이므로 전에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알 수없는 값'(쓰레기값, garbage value)가 남아있..

네이티브 앱(Native App) vs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vs 프로그레시브 웹 앱(PWA) 이란?

모바일 앱을 개발할 때 다양한 방법으로 앱을 개발할 수 있음. 그 중 3가지 방법 네이티브 앱(Native App) : 앱의 성능이나 실행될 장치의 하드웨어 방면 기능이 매우 필요한 경우 사용 하이브리드 앱 (Hybrid App) : 웹 개발에 익숙하고 빠른 기간 내에 앱을 구축하고 싶은 경우 사용 프로그레시브 웹 앱(PWA) : 사용자의 방문이 많고 웹과 모바일 둘 다 되는 앱을 구상 중인 경우 사용 네이티브 앱( Native App ) Android 또는 IOS처럼 각 모바일 운영체제 맞는 언어로개발한 앱을 네이티브 앱이라고 한다. Android는 구글에서 만든 운영체제이며 java 또는 Kotlin으로 개발가능하고, IOS는 애플에서 만든 운영체제이며 Objective C 또는 Swift로 개발 ..

[ Error ] 에러!! npm ERR! code ERESOLVE

npm ERR! code ERESOLVE 아래 react-vertical-tree 를 설치 하다 에러가 났다!! npm i react-vertical-tree 에러 내용 : react 버전을 맞춰!! 나는 18.1.0 버전인데 내가 설치하려는건 16.8.3 이여야 버전에러가 뜨지 않는다는 말이다 잘 읽어 보면 -- force로 충돌을 우회하거나 --legacy-peer-deps로 충돌을 무시하거나 선택해야한다함. -- force : package-lock.json에 몇가지의 다른 의존 버전들을 추가 --legacy-peer-deps : peerDependency가 맞지 않아도 일단 설치 해결 방법 // 1번 npm i react-vertical-tree -- force //2번 npm i react-ve..

기타/에러 2022.06.09

[ Oracle SQL ] 계층형쿼리 (Hierarchy Query)

계층형 쿼리란? 한테이블에 레코드들이 계층관계(상위,하위)를 이루며 존재할 때, 이 관계에 따라 레코드를 계층관계(상위,하위) 한 구조로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되는 SQL문을 의미한다. 쉽게말하자면 계층형 쿼리는 말그대로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쿼리문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위 회사 조직도는 최상위는 회사를 두고 그것을 중심으로 개발부분과 영업부문으로 나뉜다. - 회사 : 최상위 - 개발부문 상위 : 회사 하위 : 개발부, 부설연구소 - 영업부문 상위 : 회사 하위 : 해외영업부, 국내영업부, 영업기획팀 실습 해보기 1. 해당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B_DEPT ( DEPT_CD VARCHAR2(8) NOT NULL PRIMARY KEY, PAR_DEPT_CD VARCHAR2(8), DEPT..

DataBase/Oracle 2022.06.07

[ Error ] 오라클 ORA-01950: no privileges on tablespace 'SYSTEM'01950. 00000 - "no privileges on tablespace '%s'"

ORA-01950: no privileges on tablespace 'SYSTEM' 01950. 00000 - "no privileges on tablespace '%s'" 사용자 생성 후 테이블을 생성하려고 CREATE 하려는 순간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함.. ORA-01950 : 테이블스페이스 'USER'에 대한 권한이 없습니다. 에러 발생 이유 오라클에는 테이블스페이스라는 테이블이 저장되는 공간이 있음.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한 직후에 기본적으로 테이블 스페이스는 users라고 한다. 생성된 유저에 대해 GRANT를 통해 RESOURCE 롤(role)을 부여해주지 않은 경우 이 users 테이블스페이스(tablespace)에 얼마만큼의 영역을 할당할것인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고한다. 그래서 use..

기타/에러 2022.06.06
728x90